GS리테일과 GS홈쇼핑이 내년 7월에 합병한다. 국내 편의점 1위와 홈쇼핑 업게 1위인 계열사를 통합함으로 단순한 합병을 넘어 오프라인과 온라인 계열의 결합으로 이야기된다.
쿠팡과 네이버 등의 일명 '디지털 공룡'들의 싸움에 뛰어들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자산 9조원, 연간 거래 금액 15조 원 규모의 대형 유통사 출범을 계기로 다른 유통 업체들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세워 행동할 것으로 보인다.
GS리테일과 GS홈쇼핑은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고 7월까지 합병하기로 의결했다. 합병 후의 존속법인은 GS리테일이다. 실제 합병은 당국의 기업 결합 심사와 더불어 5월에 있을 양사 주주총회를 거쳐 내년 7월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GS리테일은 오프라인의 강자로써 편의점 GS25 점포 1만 5000여 곳과 슈퍼마켓 GS더 프레시 320여 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등의 오프라인 유통망을 가지고 있다. GS홈쇼핑은 온라인 중 홈쇼핑 업계의 강자로써 TV홈쇼핑 모바일 커머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들이 결국 합병이라는 전략을 택한 이유는 아마존과 알리바바가 미국에서 중국에서 각각 1위 자리를 독식했듯이 강력한 힘을 가진 1등만이 살아남는 곳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마찬가지로 롯데, 신세계 등의 기존 유통 강자들이 있으나 이들을 빠르게 그리고 압도적으로 넘어서려면 합병이라는 전략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해 초부터 고위 임원이 참여하는 GS유통협의체를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등의 실험을 시도했었다. 또한 GS25에서 판매하고 있는 와인을 GS홈쇼핑 모바일 앱에서 주문을 받아넘기는 배송 체인망을 공유하는 실험도 진행했다.
합병 이후의 자산 규모는 9조 원, 매출은 15조 원. 이는 사실상 롯데 쇼핑의 자산 33조 원, 이마트의 매출 19조 원, 쿠팡의 거래금액 17조 원 등을 뛰어넘지 못하는 수치이다. 그러나 GS그룹이 기대하는 것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결합을 통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시너지 효과이다. 이를 통해 업계 선두로 올라설 수 있다는 것이 GS그룹의 예상이다.
쿠팡과 네이버의 압도적인 행보에 있어 단점은 바로 '오프라인 매장'이다. 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바로 GS그룹의 생각이다. 즉 국내에서 테크 기업이나 플랫폼 업체들이 오프라인 유통업으로 진출하기 전에 온오프라인을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GS그룹의 판단이다.
-
개인적으로 최근에 진행되었던 CJ대한통운과 네이버의 협업 그리고 이를 통해 일어날 물류 분야의 강화는 굉장히 큰 파장으로 찾아올 것으로 예상되었는 데, GS가 이렇게 빨리 칼을 뽑아들 줄은 예상하지 못하였다. 네이버의 발 빠른 행보를 정말 GS가 쫓아가는 것을 넘어 뛰어넘을 수 있을가에 대한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앞서 이야기했던 유일한 단점이자, 약점인 오프라인 매장에 있어 GS리테일의 강점은 꽤나 큰 장점이자 전략으로 생각된다. 한국에 존재하는 수많은 편의점을 통해 그들의 유통망이 넓게 퍼져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기에 기대되는 부분이다. 쉽게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과감하게 합병을 진행한 GS의 입장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트렌드에 있어서 합병은 필요 이상의 이유였을 것으로도 보인다.
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447371
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1111/103899377/1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상반기 패션 쇼핑앱 이용자 순위 및 현황 그리고 분석 (0) | 2020.11.30 |
---|---|
네이버·쿠팡·SK 온라인 쇼핑의 치열한 경쟁 시작 (0) | 2020.11.17 |
'뉴노멀시대'의 핵심, 디지털전환과 AI회사 (0) | 2020.11.11 |
이슈+ 스윙스, 송민호 앨범 커버 표절 의혹? / 스윙스 책표지 디자인 (0) | 2020.11.11 |
비접촉 키오스크를 내놓은 롯데리아 (0) | 2020.11.11 |
댓글